부산대·인제대·고신대·동아대·경상국립대 참여
지역 의료인재 양성 위한 교육 협의체 구성
보건복지부가 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역 필수의사제 시범사업에 착수한 가운데, 지자체와 지역 의대가 지역 의사 양성을 위한 협력에 나섰다.
10일 부산시는 전날 경상남도, 부산·경남 5개 의과대학(부산대·인제대·고신대·동아대·경상국립대)과 함께 '지역 의료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보건복지부가 강원도, 경상남도, 전주, 제주 등 4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역 필수의사제 시범사업에 착수한 것에 따른 후속 조치로 보인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시범사업에 선정된 지역 의사들에게 지원금 등 정주 여건을 보장하는 것을 골자로 시범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협약은 지자체와 의과대학이 함께 지역사회 연계 협력 체계를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지역의 우수한 의료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지역 완결적 의료체계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협력한다.
이번 협약 체결로, 7개 기관은 ▲지역 의료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협의체 구성 ▲부산·경남 지역 5개 의과대학생의 공공의료기관 교육과 실습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한다.
또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와 연계해, 교육 협의체를 통해 의대 교육환경 개선·지원을 위한 방안 등을 논의한다. 이와 함께 공공의료기관 현장교육과 실습을 지원해 지역 의대생들의 공공보건의료와 지역 필수의료체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이날 협약 당사자들은 시민 누구나 안심하고 신속하게 치료받을 수 있는 지역 완결형 의료체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지역 의료인재를 양성해 필수 의료인력의 지역 정착률을 높이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했다.
부산시는 현재 지역 의료 여건과 관련해 수도권 쏠림, 의료인력 부족, 고령화 등의 문제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소아·분만·응급 등 필수 의료 분야는 더욱 취약해 의료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지역·필수의료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역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을 통해 의료인재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 또 그 지역 인재가 계속해서 지역 내 정주할 수 있도록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대한 충분한 공감이 있었다고 밝혔다.
부산시 시민건강국 조규율 국장은 "이번 협약은 지역 의료의 미래를 바꾸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지역에서 공부한 인재가 지역에 남아 일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의료인재 양성 체계가 한층 더 탄탄해지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