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연결기준 매출 감소에도 영업이익은 큰폭 성장
순이익도 흑자 전환…"사업 재정비‧지출 효율화 효과"
일동제약이 올해 3분기 수익성 개선에 성공하며 사업 재정비 등의 효과가 궤도 위에 올라선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매출 감소에도 수익성 개선에는 성공했다는 점에서 향후 매출 성장이 이어질 경우 흑자 기조는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다.

6일 일동제약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145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67억원으로 전년 대비 87.6% 증가했다.
순이익의 경우 214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 419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115억원으로 전년 대비 144.9% 증가했다.
이에 지난해부터 본격화 된 일동제약의 수익 개선을 위한 효율화의 성과가 자리를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일동제약은 연구개발비 지출 증가 등에 따라 지난 2020년 이후 2023년 4분기까지 적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2023년 11월 R&D 자회사 유노비아를 출범하며 2024년부터 사업 재정비에 나섰고 그 결과 2024년부터 차츰 수익 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이번 3분기 영업이익 67억원을 포함해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올해 매출 감소 등이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수익 개선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일동제약은 매출 하락과 관련해 지난해 말 바이엘사와의 코프로모션 계약 종료 및 컨슈머헬스케어 사업 일부가 다른 계열사로 이전되면서 해당 실적분이 금년도 실적 집계에서 빠지는 기저효과로 인하여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영업 이익은 사업 재정비에 따른 고정비 감소와 비용 지출 구조 효율화 등의 결과로 성장했으고 평가했다.
또한 순이익의 경우 외부 투자 성과와 계열사 지배구조 재편에 따른 기타 수익 발생 등의 영향으로 증가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순이익의 경우 지난달 1일 디앤디파마텍 주식을 취득한 데 따른 평가이익이 반영된 것이다.
특히 일동제약은 최근 비만치료제와 관련해 주목받고 있어 향후 성장도 기대를 받고 있다.
일동제약의 유노비아가 개발 중인 'ID110521156'은 소분자 화합물 기반의 경구용 합성 신약 후보물질이라는 차별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앞서 공개된 임상 1상 톱라인(topline) 데이터를 토대로 체중 감소 확인은 물론 위장관 부작용 경미한 수준에 그친 반면 경구 제형임에도 단기간에 주사제에 버금가는 효능을 입증했다.
특히 해당 물질의 경우 내년 임상 2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술 이전 등을 꾀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성과에 따라 일동제약의 수익 개선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