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성과공유 심포지엄 개최
빅데이터 활용 통한 헬스케어 인공지능(AI) 혁신 방안 등 발표
정부와 의료계가 한자리에 모여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과 헬스케어 인공지능(AI) 혁신을 위한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은 지난 19일 서울시 중구 소재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에서 2025년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성과공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올해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국립중앙의료원 등 유관부처 관계자, 건강보험 데이터 활용 연구를 수행하는 의료계 및 학계 연구자 등 11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좌장은 연세대학교 김현창 교수가 맡았으며, 첫 번째 세션에서는 '건강보험 빅데이터 활용 연구성과 공유'를 주제로 성과 발표 3개를, 두 번째 세션에서는 '빅데이터로 여는 헬스케어 인공지능(AI) 혁신' 방안 3개를 발표한 후 토론을 진행했다.
세션 1의 첫 발제를 맡은 신주영 성균관대학교 교수는 'SGLT-2 저해제와 자가면역질환'을 주제로 SGLT-2 억제제가 혈당 강하 효과를 넘어 자가면역질환 위험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사례를 발표했다.
이어 이호규 연세대학교 교수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다국적 공동연구 성과'를 주제로 심뇌혈관질환 다국적 공동연구를 통해 국가 간 컨소시엄 리더십도 확보할 수 있는 사례를 공유했다.
다음 발표자인 정승호 인천대학교 교수는 '코로나19가 한국 남녀의 정신건강에 미친 차별적 영향'을 주제로 육아부담 완화를 위해 공적 돌봄과 탄력적 노동환경의 필요성을 발표하며 세션 1을 끝마쳤다.
세션 2는 김광준 세브란스병원 교수가 '빅데이터와 의료 인공지능, 그리고 인공지능 전환(AX)'을 주제로 빅데이터 학습을 통한 의료 인공지능 개발 및 활용 등 의료분야 혁신을 위한 방안을 공유했다.
뒤이어 한림대학교 심진아 교수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의 인공지능 활용과 향후 과제'를 주제로 인공지능(AI) 연구 방향성, 공단 빅데이터의 구조적 한계와 개선방향 등 협력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마지막 순서로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의 유동근 상무는 '인공지능을 통한 암 정복'을 주제로 의료 인공지능(AI) 서비스 혁신을 위한 산업 현황과 암 정복 등 미래 비전 제시를 끝으로 발표가 마무리 됐다.
엄호윤 건보공단 기획상임이사는 개회사를 통해 "이번 심포지엄은 건강보험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활용방안 제시로 헬스케어 인공지능 분야의 혁신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며 "공단은 앞으로도 국민의 소중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활용하기 위한 노력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로 국민의 건강과 복지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