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협력 방안 및 지역의사회 의견 적극 수렴 약속
"사업 시행 앞두고 성공적 추진 위한 민·관 협력 강화"
전라남도의사회가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전날 전라남도와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엔 전남도·전남의사회 관계자를 비롯한 총 12명이 참석해 지자체와 지역 의료계 간의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을 약속했다.

지역사회 통합돌봄 법 시행을 앞두고, 지역 의료계와의 역할 분담 및 공조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누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지자체 중심 돌봄 체계가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
간담회에서는 통합돌봄 법 시행을 앞두고 ▲지자체 중심 돌봄 체계 운영을 위한 의료·돌봄 연계 방안 ·2026년도 시·군 실행계획 공유 ▲보건소·의료기관 협력 역할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전남의사회는 간담회 전 돌봄사업 TF를 구성하고 의료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설문조사 및 개선사항 건의를 받아 전라남도에 전달했다.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통합돌봄 재택진료 제도에 대한 지역 개원의들의 참여 의지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제도를 '잘 알고 있다'는 응답은 53%였으며, 다수 의사가 팀을 이루는 방식의 효과성에 대해서도 48%가 긍정적으로 평가해 제도 인지도는 비교적 높았다.
하지만 실제 참여 의향은 모델별로 한계를 보였다. 의원이 인력을 직접 고용하는 현행 3인 팀 모델에 대해 71%가 참여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또 의사 1인이 시·군 전체를 담당하는 모델 역시 74%가 불참 의사를 밝혀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수 의사와 보건소 인력이 협업하는 모델의 경우 참여 의향이 30%로 상승했으나, 여전히 반대 의견이 41%에 달했다. 또 참여 의사를 밝힌 응답자의 90%가 하루 1시간 이내 활동만 가능하다고 답해 현실적인 진료 시간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낮은 참여율과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기 위해 제도 설계와 지원 방안의 전면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요구다.
다만 전남도는 이 중 상당 부분이 이미 보건복지부와 논의 중이라고 밝혀 정책 반영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는 설명이다.
특히 전남도는 도의사회 및 각 시·군 의사회와 더욱 긴밀하게 협력해 통합돌봄 현장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사업에 반영하기로 합의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통합돌봄은 의료와 복지 두 축의 유기적인 결합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며 "지역 의료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선도적인 통합돌봄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