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부진한 의료사고처리특례법 "연말까지 절충안 마련"

발행날짜: 2025-10-22 11:45:53
  • 김윤 의원, 환자 피해 및 의료진 과실 따져 비례 원칙 적용해야
    복지부 김국일 정책관 "전문가 의견 기반 법률안 검토 중"

정부가 의료사고처리특례법과 관련해 연말까지 최종 절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윤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2일 국정감사를 통해 "오랫동안 의료사고의 위험을 사회적으로 책임지는 제도를 만들지 못해 필수의료가 붕괴됐지만 아직까지도 의료사고처리특례법 관련 논의는 매우 지지부진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작년 2월에 정부안을 공개했고 그 이후 논의를 통해서 여러 쟁점이 확인됐지만 정부가 어떻게 사회적 합의를 도출할 것인지는 여전히 확인이 어렵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환자가 입은 피해 정도 의료진의 과실의 정도를 기준으로 9단계로 나눠 특례를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이 의료사고특례법과 관련해 9단계로 나눠 특례를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환자의 상해가 가볍고 의료진의 과실이 경미한 영역은 반의사불벌을 적용하고 반대의 영역은 반의사불벌을 적용하지 않는 방식과 의료사고의 발생이 위험이 높은 고위험 영역은 더 우선적으로 적용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수가 중 상대가치에서 위험도수가로 5000억원 정도가 배정돼 있는데 이중 일부를 의료사고와 관련된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보건복지부 김국일 보건의료정책관은 "쟁점에 대해 추가적으로 전문가 의견을 듣고 있고 연말까지 관련 법률안을 검토해 환자 및 의료진 입장에서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최종의 절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